국내 최대 규모의 영화자료를 갖춘 첨단 멀티미디어 도서관
비디오 소장사항
대표 이미지
비디오 기본정보
코스모스 - 칼 세이건 Disc 1: 코스모스의 바닷가에서
수록영화정보 총 1편
제목 |
코스모스 : 칼 세이건
KMDb
|
---|---|
출연 | 칼 세이건,야로미르 핸즐릭,조나단 판 |
유형 | 다큐멘터리 |
수입원제명 | Cosmos : Carl Sagan |
감독 | 데이빗 F. 오이스터 |
각본(각색) | 칼 세이건,앤 드러얀 |
제작 연도 | 1980 |
길이/상영시간 | 장편/780 분 |
장르 | 과학 |
줄거리 | * 칼 세이건 (Carl Edward Sagan) 우주 과학의 대중화를 선도한 세계적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미국 우주 계획의 시초부터 지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1950년대부터 NASA의 자문 조언자로서, 여러 행성 탐사 계획에서 실험 관으로 활동했으며, 최초의 행성 탐험 성공(마리너 2호)을 목격했다. 또한 핵전쟁의 전 지구적 영향에 대한 이해, 우주선에 의한 다른 행성의 생물 탐색, 생명의 기원으로 이끄는 과정에 대한 실험 연구 등에서 선구적 역할을 했다. 그는 1975년 인류 복지에 대한 공헌으로 성 조셉 상, 1978년 『에덴의 공룡 The Dragons of Eden』으로 문학부문 퓰리처상, 미국우주항공협회의 존 F. 케네디 우주항공상, 소련우주항공가연맹의 치올코프스키 메달, 미국천문학회의 마수르스키 상 등 일일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상을 수상했다. 또한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수많은 책과 논문, 기고문을 남겼는데, 그 중 『코스모스 Cosmos』는 지금까지 영어로 출판된 과학 서적 중 가장 널리 읽힌 책으로, TV시리즈로 방영되어 현재까지 60개국 5억의 시청자를 매료시켰으며, \"까다로운 우주의 신비를 안방에 쉽고도 생생하게 전달했다\"라는 평가를 받아 에미 상 및 피보디 상을 수상했다. 대중적...우주 과학의 대중화를 선도한 세계적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미국 우주 계획의 시초부터 지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1950년대부터 NASA의 자문 조언자로서, 여러 행성 탐사 계획에서 실험 관으로 활동했으며, 최초의 행성 탐험 성공(마리너 2호)을 목격했다. 또한 핵전쟁의 전 지구적 영향에 대한 이해, 우주선에 의한 다른 행성의 생물 탐색, 생명의 기원으로 이끄는 과정에 대한 실험 연구 등에서 선구적 역할을 했다. 그는 코넬 대학교의 데이비드 던컨 천문학 및 우주과학 교수, 행성연구실험실의 소장,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제트추진실험실의 초빙교수, 세계 최대 우주 애호가 단체인 행성협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회장을 역임하였고, 1996년 12월 골수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는 『창백한 푸른 점 Pale Blue Dot』『우주의 지적인 생명체 Intelligent Life in the Universe』『대지의 속삭임 Murmurs of Earth』『브로카의 두뇌 Broca's Brain』『우주의 관계 Cosmic Connection 』등이 있으며 소설 『접촉 Contact』는 영화화되어 국내에 상영된 바 있다. [프로덕션 노트 ] 우리도 코스모스의 일부이다. 이것은 결코 시적 수사가 아니다. 인간과 우주는 가장 근본적인 의미에서 연결돼 있다. 인류는 코스모스에서 태어났으며 인류의 장차 운명도 코스모스와 깊게 관련돼 있다. 인류 진화의 역사에 있었던 대사건들뿐 아니라 아주 사소하고 하찮은 일들까지도 따지고 보면 하나같이 우리를 둘러싼 우주의 기원에 그 뿌리가 닿아 있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우주적 관점에서 본 인간의 본질과 만나게 될 것이다. - <코스모스: 칼 세이건>본문 중에서 우주, 인류, 외계인, 자연 등등 현재의 과학이 다루는 전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단순한 사실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왜 자연보호가 중요한지, 왜 핵무기는 없어져야 하는지 왜, 외계 탐사가 계속되어야 하는지 등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동명의 책 <코스모스:칼 세이건>은 전 세계적으로 600만권 팔렸다. 과학교양물로는 최고의 베스트셀러다. :::줄거리 * 제1화 The Shore of Cosmic Ocean (코스모스의 바닷가에서) 주제 : 도입부 (우주, 태양계, 지구, 생명 전반) 80억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우리 지구로 향하여 출발하며 은하단, 국부 은하군, 은하계, 항성계, 행성계를 설명한다. 이러한 우주에 대한 탐구는 고대로부터 시작하였다.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크기를 측량하던 시점에서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이 모든 서구지식의 근원을 이루었으며,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왔다. 150억년전 있었던 빅뱅에서 그리고 50억년 생성된 태양... 인간은 12월31일11시40분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 제2화 One Voice in the Cosmic Fugue(우주 생명의 푸가) 주제 : 생명의 진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은 별의 물질로 이루어졌다. 이런 물질은 우주 어디에나 흔하며, 일반적인 조건하에서 쉽게 생명의 물질이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우주에는 수많은 지적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무사 얼굴을 한 게는 인공선택에 의해 살아남았다. 자연선택의 결과는 생명의 다양성을 창조하였다. 모든 생명은 40억년전에 자연 생성된 극히 간단한 생명체로부터 진화된 것이다. 이 간단한 생명체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진화과정을 보여준다. 인간과 식물... 모든 생명체는 생리작용이 동일한 먼 친척이다. 특히 모든 지구 생명체는 DNA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 제3화 Harmony of the Worlds (지상과 천상의 하모니) 주제 : (천문학의 역사) 점성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