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박물관

한국영화의 모든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보물창고

현재 교육

[about ARCHIVE] 비디오로 에세이를 쓴다는 것 모집마감

  • 교육 일정|2025.07.09.(수)~09.03.(수)
  • 대상|성인
  • 인원 |12인
  • 교육비 |14만원
  • 수업기간 |2025.07.09.(수) ~ 09.03.(수)
  • 신청 기간|2025.06.25.(수)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about ARCHIVE]
비디오로 에세이를 쓴다는 것


2025년 ‘비디오로 에세이를 쓴다는 것’은 올해 이만희 감독 타계 50주기를 기념해 한국고전영화의 가장 빛나는 이름, 이만희 감독의 영화들을 소재로 진행합니다. 이 강좌는 이만희 감독의 영화세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자거나, 이만희 감독의 작가론을 새롭게 갱신하자거나 하는 등의 목적을 갖지 않습니다. 일본의 철학자 지바 마사야가 『센스의 철학』에서 주장하고 있다시피 의미나 목적에서 벗어나 이만희 영화를 우선 그 자체의 형태나 리듬으로서 즐기는 것부터  시작하고자  합니다. 이만희  감독을  알든  아니든  간에, 좋아하든  아니든  간에 우리가 처한 조건은 동일합니다. 온/오프라인으로 감상할 수 있는 이만희 감독 영화 12편 중 1편을 보고 와서 그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첫 시간에 일단 우리가 할 일입니다. 혹시 실수로 1편 이상을 봐버렸다면, 그중 더 마음에 드는 영화를 골라서 이야기해 주시면 됩니다. 그렇게 시작해서 7주간의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각자가 흡수한 정보량의 범주 내에서 이만희에 대한 영상물 하나를 만드는 것이 이번 강좌의 목표입니다.

강 의
박진희, 이무언
- 2023, 2024 한국영상자료원 ‘비디오로 에세이를 쓴다는 것’ 강좌 진행 
- 영화연구자•미디어연구자, 비디오에세이 작업자

교육 일정 
총 7회차, 7월 9일(수) ~ 9월 3일(수), 매주 수요일, 19시부터 2-3시간
* 7월 30일(수), 8월 6일(수)에는 수업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개별 작업 진행)
* 본 강좌는 비디오에세이 제작 실습 중심으로 진행되며, 회차별로 과제가 부여됩니다.

1강. 7.9.(수), 19:00
비디오에세이 개론 + 이만희 영화 원픽 발표 하기
이만희 영화 12편(아래 '대상작 목록' 참조) 중 최소 1편을 보고 그 영화에 대한 감상을 정리해서 발표하는 시간. 발표 방식은 자유(요약 영상, 예고편 등 영상으로 만들어오기 가능, 영화 캡쳐 이미지로 발표하기 가능, 자료 준비 없이 구두로 해도 무방).
* 차주 과제: 자신이 고른 이만희 작품(혹은 다루고 싶은 주제)에 대한 추가 자료 조사

2강. 7.16.(수), 19:00
자료 조사 세미나
* 차주 과제: 비디오에세이 작품 구성안 + 제작계획안 준비

3강. 7.23.(수), 19:00
비디오에세이 구성안 및 제작계획 발표
* 차주 과제: 구성안 토대로 가편집본 만들어 오기 

* 7.30일(수), 8.6.(수)에는 수업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개별 작업 진행) *

4강. 8.13.(수), 19:00
가편집본 크리틱하기 + 실습
* 차주 과제: 가편집본 수정하기

5강. 8.20.(수), 19:00
수정본 크리틱하기 + 실습
* 차주 과제: 최종본 마무리를 위한 준비

6강. 8.27.(수), 19:00
수정본 크리틱하기 + 실습 
* 차주 과제: 상영본 준비

7강. 9.3.(수), 19:00
작품 발표회

최종 과제
이만희 감독의 영화를 활용한 3~5분 내외 비디오에세이 제작 
- 1인 1편 이상
- 완성 작품은 수강생 동의 하에 한국영상자료원 유튜브 채널에 게재됩니다. (2023, 2024년도 작품 관람 _ 링크 클릭)

   [ 대상작 목록 ]
   * 유튜브 한국고전영화 채널, KMDb(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또는 영상도서관에서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돌아오지 않는 해병>(1963) _ 링크
   <마의 계단>(1964) _ 링크
   <검은 머리>(1964) _ 링크
   <물레방아>(1966) _ 링크
   <원점>(1967) _ 링크
   <귀로>(1967) _ 링크
   <휴일>(1968) _ 영상도서관 방문 시 감상 가능, 링크
   <0시>(1972) _ 링크
   <청녀>(1974) _ 링크
   <들국화는 피었는데>(1974) _ 링크
   <삼각의 함정>(1975) _ 링크
   <삼포가는 길>(1975) _ 링크

대 상 
-  성인
-  영상 편집프로그램 기본 기능 활용 가능자 (본 수업에는 편집 프로그램 교습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개인 노트북 지참 가능자, 편집 프로그램 설치 필수
    * 다빈치 리졸브(무료), 프리미어 프로 등

장 소 _ 한국영상자료원(상암) 지하1층 3관
* 주차권 제공 (동 건물 지하 주차장)

인원 및 참가비 _ 12인, 14만원
- 선착순 마감 시 대기자 4인을 추가 모집하며, 공석 발생 시 신청 순서대로 안내해 드립니다.

신청 기간 _ 2025년 6월 25일(수) 오전 10시 신청 시작
* 신청시 구글 메일 계정을(gmail) 작성해주세요. 수업 자료 공유 용도로 활용됩니다.

신청 방법
① 우상단 '예약' 버튼 클릭 후 '교육 프로그램' 선택 (회원 가입 및 팝업창 허용 필요)
    ** 접수 현황에 따라 신청 버튼이 '가능  >  대기신청  >  마감'으로 변경되며, '마감'은 정원 및 대기자 모집이 모두 종료된 경우입니다.
② 카카오톡 또는 문자로 안내한 가상 계좌로 수강료 입금 (*신청 당일 23:00까지 미입금 시 신청 자동 취소)
③ 입금 완료 시, 카카오톡 또는 문자로 참가 확정 알림 자동 발송

참고 사항
- 교육 취소 및 환불 신청: 7월 4일(금) 마감
- 3회 이상 불참 시 차후 6개월 간 교육 신청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 6개월 중 교육 신청 후 불참한 이력이 있는 경우 강좌 신청이 불가합니다.

문 의 _ vandyck@koreafil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