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테크KOFA

영화가 있는 곳, 영화를 만나는 곳, 영화가 당신을 기다리는 곳

지난 프로그램

유현목 추모 전작전

기간: 2009.09.10.목 ~ 09.30.수 |장소: 시네마테크KOFA 1관

유현목 추모 전작전 대표 이미지

어쩌면 고뇌와 좌절의 시대를 향해 쏘아 올린 오발탄과도 같았던 감독. 신상옥, 김기영 등과 함께 60년대 한국영화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故 유현목 감독은 1956년 <교차로>로 데뷔한 이래 진지하고 무거운 주제의식과 독특한 영상미의 작품을 선보여온 영화작가였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고집스럽게 작가의 길을 걸어왔던 그의 영화 세계를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의식은 바로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었다. 유현목 감독의 영화는 언제나 비극적인 현실을 통해 시대를 사는 인간들의 좌절, 절망, 불안을 사실적이며 집요하게 그려냈다.
한국영화사를 대표하는 감독인 동시에 대학 강단에서 수많은 제자를 배출한 스승이었으며, 후배 영화인들을 지원하고 격려한 한국영화계의 영원한 선배였던 故 유현목 감독. 한국영상자료원에서는 그를 기리며 작은 추모전을 마련한다. 한국영화사의 위대한 걸작 <오발탄>은 물론, 영화 형식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과 실험정신을 엿볼 수 있는 초기작부터 유작에 이르기까지 그게 세상에 남긴 43편의 장편 극영화 중 상영본이 남아있는 27편의 영화 전체가 공개될 것이다. 그중에는 <오발탄> <김약국의 딸들> <장마>처럼 고뇌하는 작가 유현목의 전형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작품들도 있지만 넘치는 재치와 유머로 가득한 코미디영화 <공처가 삼대> <몽땅 드릴까요>처럼 유현목의 또 다른 면모를 발견케 하는 작품들도 있다. 더불어 2004년 소실된 사운드를 새롭게 복원한 <춘몽> 등은 가장 실험적이며 혁신적이었던 영화작가 유현목과 조우케 할 것이다. 현실과 영화 사이에서, 최고의 영상 세계를 만들고자 했던 고 유현목 감독, 이번 추모 전작전을 통해 영화 속에 종교와 구원, 인간과 당대의 현실을 녹여냈던 한국영화계의 한 영화작가가 남긴 거대한 흔적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그대와 영원히
    유현목 1958년 109분 35mm
  • 구름은 흘러도
    유현목 1959년 100분 35mm
  • 막차로 온 손님들
    유현목 1967년 104분 35mm
  • 아내는 고백한다
    유현목 1964년 100분 35mm
  • 분례기
    유현목 1971년 102분 35mm
  • 김약국의 딸들
    유현목 1963년 108분 35mm
  • 춘몽 + 복원영상
    유현목 1965년 100분 35mm
  • 오발탄
    유현목 1961년 107분 35mm
  • 공처가 삼대
    유현목 1967년 105분 35mm
  • 나도 인간이 되련다
    유현목 1969년 96분 35mm
  • 카인의 후예
    유현목 1968년 107분 35mm
  • 태양은 다시 뜬다
    유현목 1966년 105분 35mm
  • 다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
    유현목 1979년 100분 35mm
  • 장마
    유현목 1979년 114분 35mm
  • 악몽
    유현목 1968년 90분 35mm
  • 몽땅 드릴까요(토끼와 포수)
    유현목 1968년 95분 35mm
  • 불꽃
    유현목 1975년 95분 35mm
  • 종야
    유현목 1967년 95분 35mm
  • 수학여행
    유현목 1969년 115분 35mm
  • 사람의 아들
    유현목 1980년 110분 35mm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유현목 1978년 95분 35mm
  • 상한 갈대
    유현목 1984년 106분 35mm
  • 말미잘
    유현목 1994년 113분 35mm
  • 정진우,유현목,김기영 1968년 100분 35mm
  • 아리랑
    유현목 1968년 105분 35mm
  • 두 여보
    유현목 1970년 100분 35mm
  • 순교자
    유현목 1965년 131분 35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