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모아 문화를 만드는 곳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도 필름은 보존성에 있어 현존하는 가장 안정적인 영상매체입니다. 이러한 필름을 보존하기 위해 한국영상자료원에서는 다양한 아날로그 필름 작업들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필름 보존관리, 필름 심화보수, 필름 인화/현상 파트들은 각기 독립적인 듯 보이지만 유기적인 관계를 지니며 필름 보존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필름 보존 환경 관리, 최초 입수된 필름의 점검 및 기초 보존처리, 기보유 필름의 주기적 관리, 초산화증후군 필름 관리 등 필름을 보호하고 간수하기 위한 전방위적 작업들이 모두 포함됩니다.
한국영화의 안정적인 보존을 위해 상암 본원과 파주보존센터 두 곳에서 필름을 이원 보존 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영화에 대해서 필름의 종류에 따라 구분 배치하고 있으며 상암에는 포지티브 필름을, 파주에는 네거티브 필름을 보관합니다. 모든 보존실은 필름이 반영구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기준치에 맞게 24시간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운영됩니다.
포지티브 필름전용
총 5개실
(5℃/30% 2개실, 15℃/30% 3개실)
네거티브 필름전용
총 10개실
(5℃/30% 10개실)
동일 영화 같은 장면 포지티브 필름
동일 영화 같은 장면 네거티브 필름
Master Positive
Release Print
Original Negative
Dupe Negative
필름은 광학 복사 원리에 의해 필연적으로 ‘네가티브->포지티브’ 또는 ‘포지티브->네가티브’로의 복사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촬영장에서 최초로 촬영된 원본 필름(ON)에서부터 극장에 영사용으로 배포되던 프린트(RP)를 만들기까지 여러 중간 과정물이 생기게 됩니다.(MP, DN)
입수 필름 점검 및 보존처리 과정은 한국영상자료원으로 입수된 필름의 정체를 파악하고 물리적, 화학적 상태를 기록하며 보존적 예방조치가 이뤄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외부에서 유입된 필름의 경우 실제 담겨 있는 영화와 다른 제명이 기록된 캔에 담겨 있기도 하고, 훼손 및 오염이 심각한 경우가 많아 면밀한 검수가 요구됩니다. 해당 점검 정보는 이후 심화 보수나 인화/현상 작업 시 중요한 참고 데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1. 기본분류
2. 이물질 분리 및 작업대 거치
3. 제명, 규격, 화면비율 등 확인
4. 길이 측정(프레임 단위)
⬇
5. 기본 보수
6. 보존용품 적용
7. 데이터 입력 및 라벨 부착
8. 보존고 배가
필름 초산화 현상이란 아세테이트(acetate) 재질 필름에서 관찰되는 현상으로서 습기와 열에 의해 발생되는 화학적 반응입니다. 해당 반응의 결과로 초산이 형성되면서 필름 베이스 층의 가수분해가 빠르게 진행되며 젤라틴 층에도 영향을 미쳐 필름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이 가속화됩니다. 한번 시작된 초산화를 없애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낮은 온도 보관, 주기적인 환기, 초산화방지약품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억제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한국영상자료원에서는 초산화방지약품으로 코닥사의 몰레큘러시브(Molecular Siev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름의 규격 및 길이에 따라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양의 약품을 투입하고 있으며 보존 환경 5℃/30% 기준 5~10년 주기로 약품을 교체합니다.
몰레큘러시브 내부 모습
몰레큘러시브 투입 예시
체계적인 필름 초산화 관리를 위해서는, 필름마다 차이를 보이는 초산화 정도를 분류해야 합니다. 초산화가 심한 필름일수록 조치가 시급하며 유사시 디지털화나 인화/현상의 대상으로 선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초산화 정도가 약한 필름일지라도 상태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영상자료원에서는 초산화등급확인용지(AD-Strips)를 활용하여 보존용 필름의 초산화 레벨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AD-Strips 사용 예시
초산화 레벨 캔부착 예시
Level 0
Level 1
Level 2
Level 3
한국영상자료원 파주보존센터에는 국가유산청 심의를 거쳐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영화 필름 12벌이 보존돼있습니다. 과거 영화의 매체로서만 소비되던 필름이 한 시대의 문화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소중한 국가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해당 필름들은 매년 상·하반기에 정기 육안 점검을 받고, 5년에 한 번씩 리와인드, 수축도 측정, 색농도 측정, 산화도 측정 등의 정밀 점검을 받으며 관리됩니다.
리와인드
수축도 측정
색농도 측정
문화재 등록번호 | 영화명 | 제작년도 | 필름형태 |
---|---|---|---|
제342호 | 마몽(죽음의 자장가) | 1936 | 35mm RP 7권 |
제343호 | 자유만세 | 1946 | 35mm DN 6권, SN 6권 |
제344호 | 검사와 여선생 | 1948 | 35mm DN 4권, SN 4권 |
제345호 | 마음의 고향 | 1949 | 35mm DN 4권, SN 4권 |
제346호 | 피아골 | 1955 | 35mm ON 11권, SN 11권 |
제347호 | 자유부인 | 1956 | 35mm ON 12권, SN 12권 |
제348호 | 시집가는 날(일명:맹진사댁 경사) | 1956 | 35mm ON 9권, SN 9권 |
제488호 | 청춘의 십자로 | 1934 | 35mm ON 7권 |
제861호 | 낙동강 | 1952 | 16mm ON 2권, SN 2권 |
제862호 | 돈 | 1958 | 35mm ON 15권, SN 14권 |
제863호 | 하녀 | 1960 | 35mm ON 11권, SN 10권 |
제864호 | 성춘향 | 1961 | 35mm ON 10권, SN 9권 |
손상된 필름을 원형에 가깝게 회복시켜, 영화의 물리적 수명을 연장하고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적극적 보수를 통해 열화, 오염, 물리적 손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필름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필름을 새로운 필름으로 복사하거나(인화/현상) 디지털 복원을 위한 스캔 작업을 할 때, 물리적 상태가 불안정한 필름은 자칫 더 큰 훼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레임 단위의 정밀한 필름 보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당 심화보수 작업은 고도의 집중력과 숙련도를 요하며 한편의 작품을 마무리 짓는데 한 달 이상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경화
곰팡이
끊어짐
스크래치
영사기 램프 열화
이물질, 오염테이프
탈선
퍼포레이션 손상
화면 손상
필름의 잠재적인 이미지를 가시적인 이미지로 변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곳에서는 색보정, 인화, 조약, 현상 등 필름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기술 공정이 진행됩니다. 필름 보존관리에 있어 해당 작업은 필수적이면서도 혁신적입니다. 초산화나 물리적 훼손이 심한 필름을 새로운 필름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본이 디지털인 영화도 필름으로 만들어낼 수 있어 보존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름 색보정은 인화 과정에서 특정 색상의 광량을 조절하여 필름의 색감과 노출을 조정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 변색되거나 손상된 필름의 색감을 복원하여 제작 당시의 본래 색감을 정확히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색보정기
색보정기 작업 예시
필름 인화는 하나의 필름에 담긴 이미지를 다른 필름에 복사하는 과정입니다. 원본 필름(네거티브)의 이미지를 새로운 필름(포지티브)에 옮기거나, 반대로 포지티브 필름을 복사해 네거티브 필름을 만드는 작업이 모두 포함됩니다. 이는 원본 필름을 보호하고 상영용, 추가 보존용 필름을 제작하는 데 필수적인 공정입니다.
Oxberry 인화기
건식 인화기
습식 인화기
건식 인화기 라이트 박스 내부
필름 조약(調藥)은 현상 약품의 정확한 비율을 조제하는 과정입니다. 필름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화학 약품의 농도를 정밀하게 맞춤으로써, 주기적인 분석을 통해 농도를 일관되게 유지하여 필름 현상의 품질을 결정하고 원본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복원하는 데 기여합니다.
실험실
실험실 작업 예시
조약실
은 회수기
필름 현상은 빛에 노출된 필름의 잠재적인 이미지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제 이미지로 바꾸는 작업입니다. 여러 화학 약품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필름 감광층에 반응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이미지를 영구적으로 정착시켜 필름의 손상을 막습니다.
네가 현상기
포지 현상기
흑백 현상기
암실 작업 사진
현상기 내부 상단 촬영
약품층, 건조박스를 통과한 직후의 상이 발현된 필름
필름종류 | 작업 |
---|---|
16mm | 컬러 현상(Color processing), 흑백 현상(BW processing) |
35mm | 컬러 현상(Color processing), 흑백 현상(BW processing), 컬러 인화(Color printing), 흑백 인화(BW printing) |
장비종류 | 이름 | 특이사항 |
---|---|---|
인화기 | CTM | 습식인화기 |
인화기 | BHP | 건식 밀착 인화기 |
인화기 | Oxberry | 특수효과 인화기 |
현상기 | Calder | Negative 현상기 |
현상기 | Calder | Positive 현상기 |
현상기 | Calder | BW 현상기 |
색보정기 | Color Master | |
2K 스캐너 | Spirit 2K | 현상 작업 검수용 |